Ad Code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이란 TDF 등

 증권사에 디폴트 옵션을 지정하라는 문자가 끊임없이 날라오네요.


퇴직 연금 디폴트 옵션 과연 뭐길래 그러나 궁금해졌습니다. 

적극적으로 가입을 권하는 것이 어딘가 그들에게 유리할 것만 같은 느낌적인 느낌으로 자세히 알아 보았어요. 

먼저 퇴직연금을 어떻게 분류하는지 보았어요/  내가 어디에 속해 있는지 알고 있어야 겠지요.

증권사에서 소개하는 정의를 찾아봤어요. 참고로 어떤 증권사는 소개도 안 되어있는데 미래에셋은 간단하게 되어 있네요.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근거하고 있어요. 여기에 디폴트 옵션 중 하나를 지정해야 한대요. 이렇게 보니 의무같아 보이네요. 두번째 보니 'DC형은 지정할 수 있다' 이건 선택같아요. 

그래서 찾아봤습니다.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21조

제21조(적립금 운용방법 및 정보제공) ① 확정기여형퇴직연금제도의 가입자는 적립금의 운용방법을 스스로 선정할 수 있고, 반기마다 1회 이상 적립금의 운용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② 퇴직연금사업자는 반기마다 1회 이상 위험과 수익구조가 서로 다른 세 가지 이상의 적립금 운용방법을 제시하여 야 한다. ③ 퇴직연금사업자는 운용방법별 이익 및 손실의 가능성에 관한 정보 등 가입자가 적립금의 운용방법을 선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2022년 07월 12일 내용으로 변경 가능성이 있습니다.  

알 수 없게 나오네요. 퇴직연금사업자가 정보 제공인지 가입자가 정보 제공인지~ 법은 참 어려워요. 손실 가능성을 알려 줘야 한다는 데 왜 가입자의 동의가 필요할까요.


증권사가 지정한 디폴트 옵션으로 매수를 할 수 있군요.  하나은행, 국민은행 퇴직 연금 많이 있지만 저는 증권사를 선택했어요.  가입은 신한증권이요. 여기서 정기예금 들었습니다. 하하

퇴직연금 규모가  벌써 300조원에 달한다고 해요. 문제는 제대로 운용되지 않고 방치되고 혹은 원리금 보장예금에만 들어있대요.  취지는 정부가 투자상품으로 바꿔서 수익률을 올려보자 이런 목적이예요. 

너무 헷갈려서 챗봇상담에 물어봤어요. 내가 알고 싶은 내용이 설명에 안 나와 물어봤는데 여기도 원론적인 이야기만 하네요. 고객센터는 연결이 세월아 네월아 이고 누구한테 물어봐야 할까요.


디폴트옵션은 사전에 상품을 지정해 놓아야 하나봐요. 그랬을 때 일정 기간 후 그 상품을 매수하는 듯 합니다.

그럼 여기에는 어떤 상품이 있을까요.

위험등급 투자자 성향 상품이름 비중
초저위험 안정형국민은행 정기예금
하나은행 정기예금
50%
50%
저위험 안정추구형신한 마음편한 TDF 2030
미래에셋 전략배부 TDF 2030
하나은행 정기예금
15%
15%
70%
중위험 위험중립형신한 마음편한 TDF 2035
미래에셋 전략배부 TDF 2035
우리은행 정기예금
30%
30%
40%
고위험적극투자형미래에셋 전략배부 TDF 2040
신한 마음편한 TDF 2040
삼성 한국형 TDF 2040
50%
30%
20%




그럼 똑똑한 개인이라면 비율조정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가능합니다. 디폴트옵션의 증거금을 일부를 해지할 수 있어 약간의 현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20

TDF 의 뜻은 생애주기형펀드 입니다. 근로자가 퇴직했을 때에 시기를 맞춰서 위험, 안전 자산에 투자하는 비중을 자동 조정되는 펀드입니다. 새내기라면 위험비중이 높을 수 있고 은퇴가 가까워지면 채권 비중이 높을 수 있습니다.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름에 답이 있습니다. TDF2030은 은퇴시점을 2030년으로 가정하여서 2030년에 가까울 수록 채권 비중이 높게 됩니다. 


퇴직연금의 경우 해지는 55세이상 찾을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 비교공시는 통합연금포털에서 가능합니다.

https://www.fss.or.kr


#파킹통장 착한이자 통장 알아보기

댓글 쓰기

0 댓글